본격적인 e-book reader 기기 kindle2가 출시되었다고 한다.
작년 내가 문화콘텐츠 창작기획 공모전에서 대상을 받았던 '달성칠성'이 e-book과 관련된 콘텐츠라서,
이 부분에 있어서 작년에 정말 많이 배경지식을 쌓았엇는데..:)
kindle2 처럼, 아예 전문 리더기가 인기를 끄니.. e-book 시장도 점점 비대화 되겠군.
달성칠성 같은 서비스가 오픈 할 날이 머지 않았을 터인데..^^
특히, 이 점에서 짚고 넘어갈 점은..! 최신 디지털 기기임에도 불구하고,
중 장년층의 수요가 대단히 많다는 것!
kindle 2. 전체적으로 이전 버젼에 비해 정돈된 디자인.
전원 오프 상태에서는 작가들의 삽화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마크 트웨인이 이렇게 생겼었군요;;)
전원을 많이 소모하지 않는 킨들의 장점 때문에 가능한 모습.
집에 흩날리는 논문 페이퍼들의 압박 때문에 전전 긍긍하다가
킨들 2의 자태에 완전홀려서 아마존에서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킨들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두가지,
1. 킨들이라는 물건 본연의 목적인 책과 유사한 가독성,
2.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 기능. 이 두 가지가 될 수 있겠네요.
그리고 차별성있는 디자인,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함으로써 얻는 상대적 부피.
e-book기기 중 상대적으로 많은 컨텐츠.
정도가 킨들이라는 기기가 가진 장점이라고 할 수 있을것입니다.
PDF논문을 아마존 서비스를 통해 변환한 모습입니다. 2단짜리였는데 일단 레이아웃은 완전히 깨집니다.
그래도 부피 줄고, 가볍고, 편리하니 뭐...
첫번째,
첫번째 특징인 가독성은 e-ink 기술이 그 근간입니다. 책과 같은 편안함과 가독성. 이것을 위해 아예 새로운 디스플레이를 개발한 것이죠. 이것은 LCD같은 기존 디스플레이 기기에 비해 책과 같은 느낌의 시각성과 사용시간 이외의 장점은 하나도 없습니다;; 오로지 그 두 장점을 위해 개발된 기술이죠. 가장 커다란 특징이면서도 동시에 가장 애매한 특성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 사이에 논란이 많죠. 그래서 확실한 구매자가 존재하는 동시에 결코 주류가 될 수 없는 기기이기도 합니다.제가 느낀 바로는 충분한 만족감을 제공합니다.
백라이트가 없어 분명 사용 공간의 제약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반대급부로 눈의 편안함, 그리고 사용시간의 연장이 따라옵니다. 편안함의 경우 lcd의 보급이 대중화를 넘어 일상이 된 지금, 모두가 그 일상에 적응하여 그 차이가 없어진 것 같기도 합니다만... 그 느낌 차이는 분명합니다. 발광체가 아니라 전류 발생 지역에 입자가 모여 표시하는 방식이라서 아날로그의 느낌이 배여 있습니다. 그리고 표시 텍스트의 폰트 크기가 조절 가능합니다. 작게도, 크게도 조절 가능해요.
한마디로, 대세는 될 수 없지만 주관적 만족도는 분명 존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두번째,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편의성. 그리고 이용이 무료. 즉 언제 어디서나 부담없이 책을 검색할 수 있고, 사서 바로 볼 수 있습니다.
wi-fi 방식의 무선 네트워크 방식이 아닌 Sprint의 EV-DO "Whispernet", 즉 3G 핸드폰 망을 통해 사용공간의 제약 자체를 없앴습니다. 핸드폰망을 사용해서 언제 어디서나 네트웍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비용은 완전 무료고 요. 킨들의 네트워크 서비스는 미국 내에서만 제공되고 있습니다. 책을 찾으러 서점 갈 필요도 없고, 컴퓨터 키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해서 뒤져보는 번거로움 없이 그냥 킨들 내에서 검색 및 즉시구입 즉시획득이 가능한 점. 땅덩이가 넓은 미국이다보니 사소하지만 강력한 장점이죠.
위키피디아나 구글 같은 자료 탐색 서비스도 간략하게 지원합니다.
문제는... 우리나라에서 이 서비스가 사용 불가능하다는 점입니다. ㅠㅠ
이 두 가지가 일반적인 디지털 기기의 사용자 수요 이외의 시장을 만들어 냈습니다. 미국내 킨들 사용자 중 4~50대의 비율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디지털 기기임에도, 그리고 최신 기기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중 중장년층의 비율이 높다는 것이 참 독특하죠.
디자인적 요소.
<- 킨들 2의 디자인, 특히 두께에 반했습니다. ㅎㅎ 직접 대 보니 아이팟 터치보다도 얇습니다. 이거 조금만 힘줘도 뒤틀리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요. 그 우려를 불식시키고자 아마존 사이트 내에서 강도 테스트 동영상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생각보다 튼튼하네요.
킨들 첫 버젼의 경우 굉장히 기계적인 느낌이었던 디자인이
2번째 버젼에서는 아이팟스러운 미니멀 느낌의 디자인으로 바뀌었습니다.
백색과 회색의 간결한 투톤디자인,
후면의 서늘한 금속 판넬,
무엇보다 아이팟 터치보다도 얇은 두께
(두께 페티시가 생겼는지 늘 땡긴다는...이런;;;;)
인터페이스는 여전히 딱딱하고 기계적이지만
오히려 다른 설명이 필요없다는 장점이 될 수 있네요.
부피. 조작감.
이건 모든 이북 기기에 해당하는 일반적인 사항이겠죠. 요즈음 논문을 많이 보고 있는데 2~300페이지짜리가 가방 안에서 흩날리는 상황 하에서 이렇게 한꺼번에 넣고 정리할 수 있는 기기는 축복이죠. 노트북에 넣고 볼수도 있지만 이 모바일 기기 노트북이 의외로 불편하죠. 꺼내서 켜서 시동시간 기다리고, 아이콘 클릭해서 실행 후 본다는 점. 그리고 액정 올리고 키보드에 손 올려놓고 조작할 때 차지하는 공간도 상당합니다. 이런 것들이 해결된다는 점이 제게 있어 커다란 구입 동기였죠.
그리고 Kindle DX를 발표하면서 더 확실하게 드러났는데, Kindle 2의 경우 책에서 페이퍼북의 위치가 될 것 같습니다. 작고 가볍고, 하지만 페이퍼북 수십, 수백권이 들어갈 수 있는 기기. DX는 레이아웃 구현이 필요한 전문서적, 신문같은 발행물, PDF저작물을 위한 라인업이 되겠죠.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많은 컨텐츠.
아마존에서 전략적으로 책들을 끊임없이 디지털화하고 있습니다. 그 숫자는 계속 늘어나며 책들 이외에도 뉴욕 타임즈나 타임즈 같은 정기 간행물들, 그리고 각종 블로그 발행글 역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음음 그렇습니다.
kindle 2. 전체적으로 이전 버젼에 비해 정돈된 디자인.
전원 오프 상태에서는 작가들의 삽화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마크 트웨인이 이렇게 생겼었군요;;)
전원을 많이 소모하지 않는 킨들의 장점 때문에 가능한 모습.
집에 흩날리는 논문 페이퍼들의 압박 때문에 전전 긍긍하다가
킨들 2의 자태에 완전홀려서 아마존에서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킨들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두가지,
1. 킨들이라는 물건 본연의 목적인 책과 유사한 가독성,
2.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 기능. 이 두 가지가 될 수 있겠네요.
그리고 차별성있는 디자인,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함으로써 얻는 상대적 부피.
e-book기기 중 상대적으로 많은 컨텐츠.
정도가 킨들이라는 기기가 가진 장점이라고 할 수 있을것입니다.
PDF논문을 아마존 서비스를 통해 변환한 모습입니다. 2단짜리였는데 일단 레이아웃은 완전히 깨집니다.
그래도 부피 줄고, 가볍고, 편리하니 뭐...
첫번째,
첫번째 특징인 가독성은 e-ink 기술이 그 근간입니다. 책과 같은 편안함과 가독성. 이것을 위해 아예 새로운 디스플레이를 개발한 것이죠. 이것은 LCD같은 기존 디스플레이 기기에 비해 책과 같은 느낌의 시각성과 사용시간 이외의 장점은 하나도 없습니다;; 오로지 그 두 장점을 위해 개발된 기술이죠. 가장 커다란 특징이면서도 동시에 가장 애매한 특성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 사이에 논란이 많죠. 그래서 확실한 구매자가 존재하는 동시에 결코 주류가 될 수 없는 기기이기도 합니다.제가 느낀 바로는 충분한 만족감을 제공합니다.
백라이트가 없어 분명 사용 공간의 제약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반대급부로 눈의 편안함, 그리고 사용시간의 연장이 따라옵니다. 편안함의 경우 lcd의 보급이 대중화를 넘어 일상이 된 지금, 모두가 그 일상에 적응하여 그 차이가 없어진 것 같기도 합니다만... 그 느낌 차이는 분명합니다. 발광체가 아니라 전류 발생 지역에 입자가 모여 표시하는 방식이라서 아날로그의 느낌이 배여 있습니다. 그리고 표시 텍스트의 폰트 크기가 조절 가능합니다. 작게도, 크게도 조절 가능해요.
한마디로, 대세는 될 수 없지만 주관적 만족도는 분명 존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두번째,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편의성. 그리고 이용이 무료. 즉 언제 어디서나 부담없이 책을 검색할 수 있고, 사서 바로 볼 수 있습니다.
wi-fi 방식의 무선 네트워크 방식이 아닌 Sprint의 EV-DO "Whispernet", 즉 3G 핸드폰 망을 통해 사용공간의 제약 자체를 없앴습니다. 핸드폰망을 사용해서 언제 어디서나 네트웍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비용은 완전 무료고 요. 킨들의 네트워크 서비스는 미국 내에서만 제공되고 있습니다. 책을 찾으러 서점 갈 필요도 없고, 컴퓨터 키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해서 뒤져보는 번거로움 없이 그냥 킨들 내에서 검색 및 즉시구입 즉시획득이 가능한 점. 땅덩이가 넓은 미국이다보니 사소하지만 강력한 장점이죠.
위키피디아나 구글 같은 자료 탐색 서비스도 간략하게 지원합니다.
문제는... 우리나라에서 이 서비스가 사용 불가능하다는 점입니다. ㅠㅠ
이 두 가지가 일반적인 디지털 기기의 사용자 수요 이외의 시장을 만들어 냈습니다. 미국내 킨들 사용자 중 4~50대의 비율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디지털 기기임에도, 그리고 최신 기기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중 중장년층의 비율이 높다는 것이 참 독특하죠.
디자인적 요소.
<- 킨들 2의 디자인, 특히 두께에 반했습니다. ㅎㅎ 직접 대 보니 아이팟 터치보다도 얇습니다. 이거 조금만 힘줘도 뒤틀리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요. 그 우려를 불식시키고자 아마존 사이트 내에서 강도 테스트 동영상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생각보다 튼튼하네요.
킨들 첫 버젼의 경우 굉장히 기계적인 느낌이었던 디자인이
2번째 버젼에서는 아이팟스러운 미니멀 느낌의 디자인으로 바뀌었습니다.
백색과 회색의 간결한 투톤디자인,
후면의 서늘한 금속 판넬,
무엇보다 아이팟 터치보다도 얇은 두께
(두께 페티시가 생겼는지 늘 땡긴다는...이런;;;;)
인터페이스는 여전히 딱딱하고 기계적이지만
오히려 다른 설명이 필요없다는 장점이 될 수 있네요.
부피. 조작감.
이건 모든 이북 기기에 해당하는 일반적인 사항이겠죠. 요즈음 논문을 많이 보고 있는데 2~300페이지짜리가 가방 안에서 흩날리는 상황 하에서 이렇게 한꺼번에 넣고 정리할 수 있는 기기는 축복이죠. 노트북에 넣고 볼수도 있지만 이 모바일 기기 노트북이 의외로 불편하죠. 꺼내서 켜서 시동시간 기다리고, 아이콘 클릭해서 실행 후 본다는 점. 그리고 액정 올리고 키보드에 손 올려놓고 조작할 때 차지하는 공간도 상당합니다. 이런 것들이 해결된다는 점이 제게 있어 커다란 구입 동기였죠.
그리고 Kindle DX를 발표하면서 더 확실하게 드러났는데, Kindle 2의 경우 책에서 페이퍼북의 위치가 될 것 같습니다. 작고 가볍고, 하지만 페이퍼북 수십, 수백권이 들어갈 수 있는 기기. DX는 레이아웃 구현이 필요한 전문서적, 신문같은 발행물, PDF저작물을 위한 라인업이 되겠죠.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많은 컨텐츠.
아마존에서 전략적으로 책들을 끊임없이 디지털화하고 있습니다. 그 숫자는 계속 늘어나며 책들 이외에도 뉴욕 타임즈나 타임즈 같은 정기 간행물들, 그리고 각종 블로그 발행글 역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음음 그렇습니다.